공정과 상식에서 본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이 포스팅은 애드센스, 애드핏, 텐핑, 데이블, 쿠팡 파트너스, 애드릭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공정과 상식에서 본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by 행복을 꿈꾸는 자 2023. 2. 17.
반응형

2009년 4월 싸이더스와 엔터계에 양대 산맥이었던 팬텀엔터테인먼트가  추억 속으로 몰락했다. 2007년 호화 MC군단과 비디오 유통회사, 배우매니지먼트 회사와 계속적으로 합병하며 몸집을 키워 정규방송사를 자지 우지 하던 시절이었다. 오늘은 팬텀엔터테인먼트 몰락에서 본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벚꽃

 

목          차
1. 팬텀엔터테인먼트 몰락

2. 팬텀엔터테인먼트 외형은 확장 하였으나 실적 개선이 되지 않고 역사속으로 사라진 이유?

3.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으로 본 공정과 상식

 

1. 팬텀엔터테인먼트 몰락

 

지난 90년 골프용품 전문업체로 출발한 팬텀2005년 음반기획사 이가엔터테인먼트가 우회상장을 하면서 DVD 회사 우성엔터테인먼트를 흡수합병하고 매니지먼트회사 플레이어엔터테인먼트를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200611월에는 회사명을 팬텀에서 팬텀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하고 대대적인 인수합병을 추진했다. 중앙일보. 자회사인 일간스포츠와 공동으로 JMB(중앙모바일앤브로드캐스팅)JMB(중앙모바일 앤 브로드캐스팅)를 설립했고 영화판권 해외 판매업체인 인터클릭과도 합병했습니다. 여기에 자회사인 도너츠미디어(옛 팝콘필름)를 통해 DY엔터테인먼트까지 인수합병하면서 팬텀은 연예기획사의 '공룡'으로 부상하였습니다.

 

이로써 팬텀은 스타 MC들을  대거 보유하게 되었고 플레이어엔터테인먼트와 합병으로 유명 영화배우까지 보유한 당시 싸이더스와 함께 공룡 기획사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인기 연예인 상당수가 팬텀에 소속돼 있다 보니 방송사 예능 PD들 사이에선 "팬텀에 밉보여선 제작 자체가 힘들다"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다. '특급 MC'들은 거의 다 팬텀 소속이어서 대안을 찾기도 힘든 실정이다. 팬텀이 매니지먼트와 제작, 유통에까지 세를 넓혀가고 있어 외형확장은 하였지만 구체적인 실적 개선은 나타나지 않고 있었습니다.

 

대형 연예기획사로 크는 과정에서 잡음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지난 2005년 코스닥 우회상장 과정에서 그 해 3월 주당 200300원이던 팬텀의 주가는 연말에 3만원을 넘어서는 급등세를 기록했다. 때문에 팬텀은 주가조작 및 불공정거래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2. 팬텀 외형은 확장하였으나 실적 개선이 되지 않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 이유?

2007년 팬텀엔터테인먼트의 실질적 사주인 000 회장 주가 상승을 위해 A급 스타를 계속 영입하여 실질적 수익이 되지 않았으며  신인발굴을 통해 영입한 가수 아이비등과 관련하여 대해 과도한 프로듀싱비를 청구하였던 것입니다. 즉 팬텀엔터테인먼트의 법인자금으로 앨범제작비 (작사, 작곡) 지급,  안무는 JYP박진영에게 프로듀싱하였음에도 불구 대부분의 수익은 000 회장으로 귀속하였습니다. 결국 주가 상승을 위해 잿밥에 눈이 멀어 있었던 것입니다.

 

3.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으로 본 공정과 상식

SM경영권 분쟁은 올해 115일 행동주의펀드 얼라인 파트너스 측이 한 법무법인을 통해 SM에 보낸 소제기 청구서였다. SM과 이수만의 개인회사 라이크기획 간 불공정 계약에 관해 주주대표소송을 예고하였으며 이수만 전 총괄 사장의 처조카인 이성수 SM공동대표 둘 사이를 갈라놓았다.

 

얼라인이 당시 문제 삼은 이사회 결의와 관련하여 이 기간 동안 SM 이사회가 이수만의 개인회사 라이크기획SM으로부터 연간 정산대상매출액의 6%’를 프로듀싱 로열티 명목으로 지급받도록 승인·연장해 온 것을 문제 삼았다. ‘총괄 프로듀서(이수만)에겐 이익, 회사에는 불이익인 불공정 계약이란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해당 기간 총 1100억원이 SM으로부터 이수만에게 흘러갔다는 것이다.

 

이런 진흙탕에 카카오와 하이브까지 끼어들어 주가는 1월 이후 급등 하여 이로 인해 최종 피해는 선량한 개미투자자에게 전가되는 것이 아닌 지, 또한 프로듀서 비용 1,100억이 공정과 상식에 맞는 지급인지 끝까지 살펴봐야 할 것이다.

 

오늘은 공정과 상식에서 본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오늘도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